5. 가위바위보

컴퓨터와 사람이 가위바위보를 하는 것으로, -1(종료), 0(가위), 1(바위), 2(보)로 정의되며, 게임이 종료되면 플레이어의 승률이 출력된다.

 

 

#define

 

어떠한 숫자를 정의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프로그램이 길어지면 혼란스러워진다.

혼돈을 방지하기 위해 숫자에 별명을 붙여놓고 코드에 별명을 사용한다.

 

//정의하는 법

 

#define GA 0

#define BA 1

#define BO 2

 

#define FAIL 0

#define SUCCESS 1

 

void Test(){

if(GA==a){ //a가 0이라면

...

re = SUCCESS; //re에 1을 저장한다

}

}

 

 

무한 반복문

while문

 

while(조건문) //조건문이 거짓이면 while문이 종료된다.

{

참일 동안 작동

}

 

while(1)

{

if(끝내기 위한 조건){

break;

}

}

 

while(! 끝나기조건만족){

 

}

 

 

for로도 무한반복이 가능하다.

 

for(;;) //아무것도 안 씀

{

if(종료조건 만족)

{

break;

}

}

 

 

논리연산자

 

//논리연산에 쓰이는  상수값

0 => false

1 => true

 

//논리연산자

&& => and

|| => or

! => not

== => equal

 

 

프로그래밍 오류

문법적 오류(에러)

논리적 오류(버그)

 

버그를 잡는 디버깅

 

1. 디버깅하고자 하는 소스 라인을 지정하고 breakpoint를 설정한다

breakpoint는 실행 문장에서만 의미가 있다.

 

2. 디버그 모드로 실행한다. 디버깅모드로 시작하면 breakpoint를 만나는 라인에서 플그램이 멈춘다.

 

3. 해당 라인을 실행하는 명령을 선택한다.

 

4. 디버깅 모드를 중지하는 명령도 있다.

 

 

흠;;; 띠바 먼소린지모르겟는데어카묘